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nginx
- jQuery
- vue.js
- vue
- keycloak
- jsp
- gradle
- SpringBoot
- 현장학습
- jpa
- ES6
- 스프링
- json
- arraylist
- Keycloak 17.0.1
- spring
- 맥길대학교
- 자바스크립트
- java
- lightsail
- JavaScript
- REACT
- 메서드
- 알고리즘
- aws
- 글로벌
- 인텔리제이
- Flutter
- 에러
- Docker
Archives
- Today
- Total
korean IT student
SpringBoot (JPA)- gradle 설정, mariaDB 연동 및 테스트 본문
1. 먼저 mariaDB 데이터베이스가 있는지 확인한다. (test 데이터베이스로 테스트 예정)
확인 후 mysql을 실행한다.
mysql.server status # 상태 확인
mysql.server stop # 정지
mysql.server start # 시작
2. build.gradle 설정
mariadb를 사용하기 위해 위의 이미지와 같이 의존성을 추가한다.
3. application.yml 적용
- 데이터베이스 설정 및 jpa 설정을 위와 같이 적용한다.
- url : test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. (default로 3306포트를 사용합니다.)
4. 테스트 데이터 만들어 확인하기
1. Entity 생성
Entity에 등록되어 실행 시 member테이블이 생성된다.
2. Repository 생성
3. RepositoryTest 생성 및 테스트
- EntityManager를 통한 모든 데이터 변경은 Transactional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.
- @Rollback (false) : test에서는 데이터가 생성되고 테스트가 끝나면 데이터가 사라지기 때문에 false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에 남긴다.
5. 데이터베이스 확인
테이블이 생성되고 데이터가 잘 들어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.
'back-end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Unit 5 란? (0) | 2021.08.20 |
---|---|
SpringBoot - vue.js 연동 및 gradle 빌드 및 실행 (0) | 2021.03.02 |
SpringBoot - tomcat(spring profile 호출 방법) (0) | 2021.02.25 |
스프링 어노테이션 및 패키지 정리 (0) | 2019.04.15 |
오라클 연동하기[ojdbc6 - 에러시] (0) | 2019.03.22 |
Comments